2025년 8월 25일 영어도서관 신*은 Independent 문법& Look, think and write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교재 제목
“형용사·부사 학습과 창의적 스토리텔링 – 『The Ugly Duckling』 & 창작 이야기 쓰기”
■ 1. 교재 분석
-
주제:
-
형용사/부사의 기능과 쓰임 학습
-
비교적 쉬운 이야기(The Ugly Duckling)로 문법 적용
-
그림을 바탕으로 창작 스토리텔링(허수아비, 겨울 소년)
-
-
문법 요소:
-
형용사 위치(명사 앞 수식)
-
부사 -ly 규칙 (slow → slowly, careful → carefully)
-
문장 구조 확립: 주어+동사+형용사/부사
-
-
활동 유형: 문법 문제 풀기 + 문장 재배열 + 이야기 창작
■ 2. 학습 포인트 및 개선 과정
◆ 실수 유형별 분석
번호 | 예시 | 실수 유형 | 오류 원인 | 설명 |
---|---|---|---|---|
1 | My mom drinks hot coffee everyday mom coffee. → My mom drinks hot coffee everyday. | G (문법) | 부주의 | 단어 반복으로 인한 불필요한 중복 |
2 | The boy is take a chill pill. → The boy takes a chill pill. | G (문법) | 개념 혼동 | 동사 활용 시 시제·형태 혼동 |
3 | Tready carefully in the snow. → Treading carefully in the snow. | G (문법/철자) | 이해 부족 | 동명사 형태를 의도했으나 철자 및 형태 오류 |
4 | The fresh produce is sunlit. It is going to go the extra mile. | W (작문) | 전략 부족 | 문맥상 연결 어색, 표현은 흥미롭지만 문장 전개 부자연스러움 |
5 | 부사 변환 연습: careful → carefuly (y 누락) | G (철자) | 부주의 | -ly 규칙 적용 시 철자 불완전 |
◆ 실수 원인 정리
-
부주의: 단어 중복, -ly 철자 누락
-
개념 혼동: 동사 형태(take/takes), 현재분사(treading) 혼동
-
전략 부족: 창작 글쓰기 시 문장 연결이 매끄럽지 못함
◆ 개선 방향
-
★‘동사 변형표’(원형–3인칭 단수–현재분사) 반복 훈련
-
★-ly 철자 규칙 집중 퀴즈 (easy → easily / happy → happily)
-
★스토리텔링 지도: 연결어 사용 연습 (first, then, because, so) → 문장 전개 강화
-
★쓰기 전 점검 습관화(중복 단어 제거, 대문자·마침표 확인)
■ 3. 교사 피드백 분석
-
피드백 방식: 직접 수정 + 유도 힌트 제공
-
오답 위에 교정 표시, 필요한 경우 단어 재작성 유도
-
창작 글쓰기는 수정 후에도 아이디어 자체를 존중
-
-
보조 지표:
-
★반응성: 문장마다 교정 흔적 표시 → 즉각 피드백
-
★개인 맞춤성: 철자/형태 오류에 맞춘 구체적 수정
-
★정서적 지원: “Perfect!”, “HW” 등 간단하지만 긍정적 피드백 병행
-
-
종합 평가: 정확성과 창의성을 동시에 키우는 수업 진행
■ 4. 학부모용 종합 리포트
안녕하세요. 신은 학생의 8월 25일 영어 학습을 정리해드립니다.
이번 수업은 형용사·부사 문법 학습과 짧은 이야기 창작 쓰기를 함께 진행했습니다.
『The Ugly Duckling』 이야기를 활용해 “They are happy children.”, “The quiz was easy.” 같은 문장을 연습하면서 형용사와 부사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했습니다. 특히 -ly 규칙을 적용하는 활동에서 철자 오류가 조금 있었지만, 선생님과 함께 수정하며 점점 익숙해지고 있어요.
창의적 쓰기 활동에서는 허수아비와 겨울 풍경 그림을 보고 문장을 스스로 만들어냈습니다. “The sturdy fence is behind the scarecrow.”처럼 형용사를 활용해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돋보였고, “Treading carefully in the snow.” 같은 문장에서 부사도 적극적으로 시도했습니다.
아직 “take ↔ takes”처럼 동사 형태 혼동이나 문장 연결의 매끄러움에서 부족한 부분이 보였지만, 이는 연습을 통해 충분히 개선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글을 쓰는 과정에서 아이가 즐겁게 상상하고 새로운 표현을 시도하는 모습이 인상 깊었습니다. ★ 영어가 단순히 규칙 학습을 넘어 ‘표현의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선생님은 꼼꼼히 문법을 교정해주면서도 아이의 창의성을 존중해주셨고, “Perfect!”라는 칭찬으로 자신감을 북돋아주셨어요.
앞으로는 문장을 더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연결어(first, then, because 등)를 활용하도록 연습할 예정입니다.
꾸준한 격려와 응원으로 신은 학생이 영어 문법과 글쓰기를 균형 있게 발전시켜가고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