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fiction Reading
강점:
심*유 학생은 이번 주 「The Best Fathers in Antarctica」와 「Ice」 두 개의 비문학 지문에서 매우 안정된 독해력을 보여주었습니다.
- 
「The Best Fathers in Antarctica」에서는 펭귄의 생태와 부성애를 다룬 설명문을 읽으며, 정보의 순서(알 낳기 → 아버지 펭귄의 역할 → 어미의 귀환) 를 정확히 이해했습니다. 
- 
“How long does the father penguin take care of the egg?” “How does he keep the egg warm?” 등의 세부 정보 문제에서 시간 개념(two months), 방법(stomach으로 덮기) 등을 정확히 찾아내는 능력이 돋보였습니다. 
- 
「Ice」 지문에서는 빙하의 움직임과 탐험 과정을 묘사한 문장에서 문법적 어순과 서술 논리를 잘 파악했습니다. 
- 
특히, 문장 배열 활동(Unscramble the sentences)에서 대부분의 문장을 완벽하게 구성해 문장 구조 감각과 어순 이해력이 우수함을 보여주었습니다. 
보완점:
- 
어휘 추론과 지문 내 문맥 연결에서 약간의 미세한 혼동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hatch / lay / chick”와 같은 생태 관련 단어들이 문장 내에서 각각 어떤 ‘행동–결과–대상’ 관계를 갖는지 구체적으로 연결해보면 더 좋습니다. 
- 
또한 “They helped us walk on the ice.” 문장의 위치 판단 문제에서, 논리적 순서(장비 언급 → 행동 → 결과) 를 좀 더 면밀히 검토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학교 연계 & 난이도 판정:
이번 지문은 중1 수준 비문학 텍스트로,
사실 중심 정보와 순서 파악, 주요 어휘 이해를 중점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 “이번 지문은 중1 수준 비문학 텍스트로, 영어 교과서 내 Science·Reading 단원과 중간·기말고사 독해 문제와 직접 연결된다.”
내용의 난이도는 중학교 1학년 교과서 ‘생물의 생활 환경’과 유사하며, 논리적 순서 이해력이 핵심 포인트입니다.
향후 과제:
- 
시퀀스(sequence) 연습: 사건의 순서가 나열된 글에서 “first–then–next–finally” 등의 연결어를 표시하며 읽기 
- 
과학 어휘 정리: lay, hatch, chick, keep warm, stomach 등을 그림 혹은 표로 연결 
- 
요약 훈련: 각 단락의 핵심을 “주어–행동–결과” 3단어 구조로 정리 
Overall Feedback
심온유 학생은 이번 비문학 주제에서 내용 이해력과 문장 구조 파악 능력 모두 우수했습니다.
세부 정보를 논리적으로 정리하고, 사건의 순서를 명확히 구분하는 훈련이 잘 되어 있습니다.
다만, 앞으로는 문맥 속 어휘 관계(예: 행동–결과–대상) 를 조금 더 세밀하게 구분하면 고등 수준의 과학 설명문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될 것입니다.
이러한 학습 태도와 정확성은 중학교 내신 독해뿐 아니라 고1 전국연합 영어 독해(설명문·정보문 유형) 대비에도 매우 좋은 기반이 됩니다.
종합 성취 평가
학부모 보고서
심온유 학생은 오늘 수업에서 남극 펭귄과 빙하 탐험을 주제로 한 두 비문학 지문을 학습했습니다.
내용 이해력이 뛰어나며, 사건의 순서나 인과관계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단어의 문맥적 의미를 좀 더 세밀하게 파악하면, 앞으로 중2~중3 수준의 설명문 독해로 자연스럽게 확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현재 중1 교과 연계 독해력 상위권 수준으로, 꾸준한 독해와 요약 훈련을 병행한다면 중등 내신 1등급 및 고등 진입 대비 독해력 완성도가 충분히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