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fiction Reading
강점:
우준석 학생은 오늘 지문 「Kinds of Plants」와 「How Do Plants Make Food?」에서 주요 어휘와 개념 이해력이 우수했습니다.
- 
produce, chlorophyll, photosynthesis 등 핵심 단어의 의미를 문맥 속에서 잘 파악했으며, 
- 
식물의 종류(Flowering Plants / Conifers / Deciduous Trees)와 광합성 과정(빛, 물, 이산화탄소 → 산소와 당 생성)의 단계적 설명을 정확히 이해했습니다. 
- 
특히 지문 구조(정의 → 예시 → 비교)의 흐름을 잘 따라가며, 주제 파악과 기본적인 세부 정보 문제에서 높은 정답률을 보였습니다. 
보완점:
- 
일부 세부 문항에서 지시어 참조(“these”, “their” 등) 부분을 놓쳤고, 문장 내 연결 관계를 충분히 해석하지 못해 선택지를 혼동하는 모습이 있었습니다. 
- 
또한 “What does produce mean?”과 같은 어휘 추론 문제에서 **문맥 단서(context clue)**를 활용하기보다 단어의 익숙한 의미로만 접근했습니다. 
- 
「How Do Plants Make Food?」 지문에서는 substance의 의미를 과학적 맥락에서 구체적으로 연결하지 못한 점이 아쉬웠습니다. 
학교 연계 & 난이도 판정:
이번 지문은 중2 수준 비문학 텍스트로,
세부 정보 파악과 지시어·어휘 추론이 요구되는 학교 내신 대비용 비문학 독해 지문입니다.
→ “이번 지문은 중2 수준 비문학 텍스트로, 과학 단원 내 ‘식물의 구조와 기능’ 및 영어 내신 Reading 시험과 직접 연결된다.”
지문 내 정보 구조와 어휘 수준은 전국 모의고사보다는 쉬우나, 어휘의 정확한 의미 파악과 문장 간 관계 해석이 핵심이었습니다.
향후 과제:
- 
지시어 추적 연습: 단락 내 this / that / these / their 등이 가리키는 명사를 표시하며 읽기 
- 
어휘 문맥 연습: 낯선 단어를 문장 속에서 정의하거나 예시를 찾아 의미 추론 
- 
요약 훈련: 각 단락의 핵심 문장 1개씩 골라 3문장 요약으로 정리하기 
Overall Feedback
오늘 학습에서 우준석 학생은 과학 개념 기반 비문학 텍스트를 이해하는 능력을 안정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기초 어휘 이해는 탄탄하나, 세부 추론 문제와 문맥 연결형 어휘 문제에서 한 단계 높은 사고력이 요구됩니다.
이 수준의 지문은 중학교 영어 중간·기말고사에 자주 등장하며,
향후 고등부로 진학했을 때 **EBS 연계 비문학(과학, 환경 단원)**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주제입니다.
종합 성취 평가
학부모 보고서
우*석 학생은 오늘 비문학 수업에서 식물의 종류와 광합성 과정을 다룬 두 편의 과학 지문을 읽으며,
핵심 개념(식물 분류, 광합성 단계)을 잘 이해하였습니다.
다만, 세부 문항에서 문맥 내 단서나 지시어를 놓친 부분이 있어, 문장 간 관계를 더 깊이 있게 파악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전체적으로 중학교 2학년 수준의 비문학 독해력을 안정적으로 갖추고 있으며,
지금의 속도로 학습을 지속한다면 중3 내신 및 고1 모의고사 수준 비문학 독해로 자연스럽게 연결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