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3일 영어도서관 김*민 Rising 문법 & Look, think and write 논술글쓰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교재 분석:
▣ 교재 제목: "This / That 기초 문법과 문장 구성의 연계 학습"
1. 교재 분석
항목 | 내용 |
---|---|
Grammar 단원 | Lesson 7: This / That / Is this...? / It is / It isn’t |
문법 요소 | 지시대명사(this, that), be동사 긍정/부정(is, isn't), 의문문 구조 |
문법 목표 | 대상 인식 후 문장으로 설명하기, 질문-대답 형식 구성 |
작문 활동 유형 | 시각 자료를 보고 문장 완성하기 (Look and Write), 쓰기 확장 활동 (Look, Think and Write) |
2. 학습 포인트 및 개선 과정
구분 | 실수 유형 | 실수 원인 | 개선 방향 |
---|---|---|---|
문법(G) | ① be동사 형태 오류 ② ‘this / that’ 일치 오류 ③ 관사 누락 | (2) 부주의 (3) 개념 혼동 - this/that 구분과 is/are 혼용 | ▶ this/that + is, these/those + are 구조 반복 정리 ▶ 실물/사진을 활용한 지시대명사 거리감 훈련 ▶ 긍정/부정/의문문을 묶어 형태별 쓰기 훈련 병행 |
작문(W) | ① 문장 주어/동사 불일치 ② 단수/복수 혼동 ③ 문장 확장력 부족 | (1) 이해 부족 (5) 전략 부족 - 시각 자료에서 핵심 정보 추출 어려움 | ▶ 글쓰기 전 무엇을 쓸지 말로 먼저 표현하는 구술 활동 병행 ▶ 짝 활동: 파트너가 묘사한 내용을 보고 맞히기 → 언어 구조 내면화 ▶ 문장 구성 틀 제공(예: 주어-동사-장소 순서대로 쓰기) |
3. 문법과 작문 연계 분석
항목 | 문법 반영 여부 | 분석 내용 |
---|---|---|
this/that 사용 | ★부분 적용 | 그림 쓰기 활동에서는 사용되었으나, 작문에서는 사용률 낮음 |
is / isn’t 사용 | ★직접 적용 | 쓰기에서 “It is a seal”, “It is a curious seal” 등 사용되었음 → 단수 주어와 be동사 일치는 잘 적용 |
의문문 구조 | ★미반영 | ‘Is it...?’ 구조는 작문에서는 나타나지 않음 |
관사 사용 (a/an/the) | ★오류 있음 | “the apples” 사용은 적절했으나, 전체적으로 관사 누락 빈도 높음 |
복수형 적용 | ★미흡 | ants 등 단어는 정확히 썼으나, be동사와의 일치성은 아직 부족 |
4. AI 수업 평가
분석 항목 | 평가 내용 |
---|---|
★피드백 방식 | 직접 수정 + 간단한 코멘트 제공 ("Good", “HW what + be동사”) |
★반응성 | 수업 중 즉시 피드백 제공 (날짜 동일, 붉은 글씨 첨삭) |
★개인 맞춤성 | 과제 난이도는 문법 수준과 유사하지만, 피드백은 개별화 부족 |
★정서적 지원 | 긍정 피드백(“Good”)은 있으나, 격려보다는 정오 확인 중심 |
???? 종합 정리: 학부모님께 드리는 리포트
김*민 학생은 이번 주 영어 수업에서 This / That과 is / isn’t 구조를 집중적으로 배우며, 이를 그림 설명 및 짧은 작문 활동에 적용해 보았습니다. 문법 문제에서는 전반적으로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지만, 실수 없이 적용하기 위해서는 조금 더 반복적인 연습이 필요해 보입니다. 특히 ‘this’와 ‘that’의 거리감 구분이나 ‘a’/’an’ 같은 관사 사용은 아직 부주의한 실수가 나타나고 있어요.
하지만 주어진 그림을 보고 문장을 스스로 만들어보는 활동에서는 “It is a curious seal”, “The pig is eating” 등의 표현처럼 문법 요소를 실제 문장에 적용해 보려는 시도가 좋았습니다. 아직 복수형 동사 일치나 어휘 선택에서 어려움이 있지만, 문장을 만들려는 의지가 분명히 보입니다.
★ 앞으로는 문장을 쓰기 전에 간단한 말하기 활동을 먼저 해보고, 말한 내용을 그대로 써보는 방식으로 연습하면 더욱 자연스럽고 정확한 문장 구성이 가능할 것입니다. 문법 수업과 작문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현재 수업 방식은 아이의 기초 작문 능력을 키우는 데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김*민 학생은 차근차근 문장력을 쌓아가는 중이니, 격려와 반복 연습이 함께 병행된다면 충분히 좋은 결과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