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1일 영어도서관 김*명 Advanced 북리포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121회
        작성일 25-10-23 17:53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121회
        작성일 25-10-23 17:53
    본문
1. 교재 분석
- 
제목: ★『Cam Jansen and the Mystery of the Dinosaur Bones』 기반 창작 스토리 작성 활동★ 
- 
학습 목표: - 
이야기 구조(Characters, Setting, Problem, Solution)에 맞는 글쓰기 
- 
초안 → 본문 구성으로 확장된 이야기 흐름 익히기 
- 
시제 일치 및 인과관계 표현 능력 강화 
 
- 
- 
문법/언어 요소: - 
과거 시제 일관성 유지 (went, saw, was, found 등) 
- 
접속사(then, after that, because, and) 활용 
- 
관사(a/an/the), 대명사 사용 정확성 
- 
문장 단위 완성도 (주어-동사-목적어) 
 
- 
???? 2. 학습 포인트 및 실수 분석
① 스토리맵 & 계획 구성
| 항목 | 실수 유형 | 실수 원인 | 설명 | 
|---|---|---|---|
| She has a good vision of memory → good sense of memory | ★V: 어휘 선택 오류 | (3) 개념 혼동 | ‘vision’은 시력 의미 → 기억력에는 적절하지 않음 | 
| Red hair glasses → needs article/verb | W | (2) 부주의 | 형용사 나열 뒤 동사/명사 생략 | 
▶ 개선 방향:
- 
캐릭터 묘사 시 "She has..." 구조 활용 강조 
- 
외형 묘사와 성격 묘사를 구분하여 작성하기 지도 
② 스토리 초안(Draft Writing)
| 문장 예시 | 실수 유형 | 실수 원인 | 설명 | 
|---|---|---|---|
| Eric and Jennifer went to the museum for the field trip | - | - | 문장 도입 명확 ★우수★ | 
| The three bones were missing so they asked to the guide Janet. → asked the guide Janet | ★G: 전치사 오용 | (1) 이해 부족 | ask 뒤에는 ‘to’ 불필요 | 
| There were Janet and milkman. → 어색한 어순 | G/W | (3) 개념 혼동 | ‘Janet and the milkman were there.’ 형태가 자연스러움 | 
| They ran away and called the director. The director came. → ★자연스러운 결말 구성★ | - | - | 이야기 흐름 구성 우수 | 
▶ 개선 방향:
- 
★인물 위치 설명 시 어순 훈련★ (There were ~ / ~ was there.) 
- 
과거 시제 동사 목록 정리하여 쓰기 전 점검 
- 
간접화법 or 대화 삽입으로 구성 심화 가능 
???? 3. AI 수업 피드백 평가
| 항목 | 분석 | 
|---|---|
| 피드백 방식 | ★문장별 직접 수정 + 오류 유형 표시★ | 
| 반응성 | ✔ 실수마다 빠짐없이 교정 (전치사, 시제, 대명사, 관사 등) | 
| 개인 맞춤성 | ✔ 자주 반복되는 오류(전치사 to / 어순 등)에 반복 설명 | 
| 정서적 지원 | ⚠ 교정 중심 피드백 위주, 격려 표현 다소 부족 | 
▶ 총평:
교사는 학생이 문장 구성에서 혼동한 부분(전치사, 어순, 시제)을 세심히 교정해주었고, 문장의 흐름이 자연스러워지도록 구체적인 구조 변경을 안내하였습니다.
다만, 창의적인 전개나 흥미로운 이야기 흐름에는 격려 표현을 덧붙이면 ★학생의 글쓰기 동기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 4. 종합 정리 (학부모용 리포트)
김*명 학생은 이번 활동에서 『Cam Jansen and the Mystery of the Dinosaur Bones』 책을 기반으로, 자신의 상상력을 더해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초반에는 이야기의 등장인물, 배경, 문제 상황을 차분하게 정리하며 스토리맵을 작성했고, 이어지는 초안 작성에서는 원인과 결과, 시간 순서에 따라 이야기를 구성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예를 들어 “They saw the milk truck in the afternoon, so they followed it.”과 같은 문장은 ★문법적 완성도와 이야기 흐름 면에서 매우 안정적★이었습니다.
일부 문장에서는 “asked to the guide”처럼 전치사 오류나 “Janet and milkman were there”와 같은 어순 오류가 있었지만, 교사의 피드백을 통해 정확한 표현으로 수정해 나가고 있었습니다. 특히 ‘called the director, and the director came.’처럼 ★행동과 결과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마무리 구성★이 훌륭했습니다.
무엇보다 김*명 학생은 이야기 쓰기 활동에서 ***“논리적으로 이어지는 장면 구성”***과 ***“사건을 설명하는 문장 만들기”***에 흥미를 느끼고 있었으며, 단어 실수보다는 의미 전달과 이야기 전개에 더 집중하는 태도를 보여주었습니다.
향후에는 배운 어휘를 조금 더 다양하게 활용하거나, 등장인물 간의 대화를 삽입해보는 쓰기 확장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는 “What happens next?”와 같은 질문을 통해 아이가 스스로 이야기를 이어가 보도록 격려해 주시면 큰 도움이 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